전체 글

학사 인턴으로 속한 연구실에서 서버랙 세팅 업무를 진행하던 중, IPMI라는 기술의 필요성을 느끼게 되었다. 간단하게 공부 후, 내가 관리하는 모든 서버에 IPMI를 설치 및 설정을 진행했다. 내가 새로 알게 된 지식과 느낀점, 설치 방법에 대해서 간단하게 정리해보았다. 이 글은 다음과 같은 내용을 포함한다.IPMI란?IPMI를 왜 쓰는가?IPMI 설치 및 설정IPMI 설치 in UbuntuIPMI 네트워크 설정IPMI User 관리IPMI Web 접근 1. IPMI(Intelligent Platform Management Interface)란?IPMI는 표준화된 메시지 기반의 하드웨어 관리 Interface로, 서버나 장비의 전원 상태, 하드웨어 이상 유무 등을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으로 모니터링하거나 ..
· Cloud
얼마 전 취득한 AWS SAA 자격증의 준비 과정과 시험에 대한 후기를 작성해보고자 한다. 1. AWS Certified Solutions Architect - Associate(AWS SAA)란?AWS 자격증은 크게 Foundational, Associate, Professional, Specialty로 나뉘어져있다. 그 중에서 Solutions Architect - Associate는 클라이언트의 비용 및 성능 최적화 솔루션을 설계하는 것에 초점이 맞춰져있다. 문제 상황이나 요구 조건이 주어지고, 이를 충족할 수 있는 기술 솔루션을 선택하는 것이 문제로 주어진다. 시험의 정식 명칭은 AWS Certified Solutions Architect - Associate로, 시험 코드는 SAA-C03이다. ..
Debian에서 SSH 관련 설정은 /etc/ssh/ 디렉토리 내에서 진행한다. 해당 디렉토리에는 다음 이미지와 같은 파일과 디렉토리가 존재한다.Password 방식의 Authentication을 제한하기 위해서 /etc/ssh/sshd_config 파일의 PasswordAuthentication을 no로 설정해주고, ssh restart를 진행했으나, 여전히 Password 방식의 authentication이 가능했다.  /etc/ssh/sshd_config.d 디렉토리 내에 50-cloud-init.conf 파일을 발견했고, 해당 파일 내에서 PasswordAuthentication yes가 설정되어 있음을 확인했다. yes를 no로 바꿔주고 sudo systemctl restart ssh를 하자, ..
· Cloud
바로 얼마 전에 취득한 AWS 자격증인 Cloud Practitioner의 준비 과정과 시험에 대한 후기를 작성해보고자 한다. 1. AWS Certified Cloud Practitioner란?AWS 자격증은 크게 Foundational, Associate, Professional, Specialty로 나뉘어져있다. 그 중에서 Cloud Practitioner는 Foundational 영역에 해당하는 자격증으로, AWS 클라우드 플랫폼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가 있는 사람을 대상으로 한다. 시험 난이도가 그리 높지 않고, 클라우드 플랫폼에 대한 이해와 AWS 클라우드에서 제공하는 서비스에 대한 지식을 주로 다루고 있기 때문에 이제 막 개발을 시작한 개발자 뿐만 아니라 PM 직무와 같은 직접 개발을 하지는 않..
· CS
대부분의 RDBMS에서 표준으로 사용하는 개념으로, Database에 대한 트랜잭션간 고립성 정도를 나타내는 개념이다. Isolation Level은 주요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에서 비슷한 이름과 기능으로 구현되어 있다. 총 4개의 단계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단계는 아래와 같다.READ UNCOMMITTEDREAD COMMITTEDREPEATABLE READSERIALIZABLE물론 각 데이터베이스 시스템마다 각 Isolation Level의 세부 구현이 다를 수 있지만, 기본적인 개념과 목적은 같다. 이러한 Isolation level은 데이터베이스가 transaction을 처리하는 방식과 다른 transaction의 영향을 받는 정도를 결정한다. 이를 통해서 동시성과 일관성 사이의 균형을 맞추는 것을 ..